본문 바로가기

병충해8

육쪽마늘 재배기술 및 방제대책 ◈ 육쪽마늘 재배기술 ◇ 씨마늘(종구) 준비 한지형은 바이러스 및 병해충 감염이 적은 종구로 쪽당 4~5g정도인 것 통마늘 파종시 2~4g정도 되는 것으로 파종 병해충의 피해 및 상처가 없고 발근 부위가 건전한 인편 뿌리를 잡아 당겼을 때 뿌리가 단단하게 붙어있는 마늘 선택 장기간 저온 저장된 마늘은 종구로 사용하면 2차 생장마늘 발생 ◇ 씨마늘 소독 마늘 껍질은 잎마름병균, 뿌리응애알, 선충알 등이 많이 붙어 있으므로 반드시 철저하게 소독해야 한다. 소독약제 : 베노람(수) 500배 + 디메토(유) 또는 스타렉스(수) 1000배액을 혼합하여 1시간 이내로 소독 마늘쪽을 분리하여 충실한 것을 선별하여 그물망에 담아 소독한다. ◇ 파 종 포장관리 ● 마늘뿌리는 곧게 깊이 자라므로 파종 2주전에 퇴비와 석회.. 2023. 10. 23.
고추탄저병 ◈ 고추탄저병 어떤 환경에서 발생하나요? 병원균은 종자 혹은 병든 부위에서 자낭각과 균사의 형태로 겨울을 지내고 1차 전염원이 된다. 병의 전반은 주로 분생포자에 의해 이루어지며, 시설재배 포장보다는 노지포장에서 병 발생이 심하다. 노지포장에서는 여름철 장마기에 분생포자가 주로 비, 바람에 의해 전반된다. 노지재배의 풋고추에서는 7월 초순부터 병이 발생하기 시작하여 수확기까지 계속 발생한다. 병원체는 약 27⁰C의 온도와 많은 강수량 원인이 됩니다. 병원균은 종자 내부나 표면에서 생존합니다. 또한 미세경화증(microsclerotia)의 형태로 토양에서 겨울을 보낼 수 있습니다. 미세경화증은 극한 조건에 대비해 영양분을 보유하고 있는 경화된 균사체의 매우 작고 조밀한 덩어리입니다. 빗물이 튀면서 감염된 .. 2023. 9. 21.
감자탄저병 ◈ 감자탄저병 감염된 식물은 줄기, 잎 또는 과일에 물에 젖은 어두운 병변을 나타냅니다 . 이러한 병변의 중심은 특히 습하고 따뜻한 날씨에 분홍색의 젤라틴 같은 포자 덩어리로 덮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감탄저병은 아름다운 수확물을 단 며칠 만에 썩은 쓰레기로 만들 수 있습니다. 이 병은 Phytophthora infestans라는 곰팡이류에 의해 발생하며, 환경 조건에 따라 심각도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어떤 환경에서 발생하나요? 병든 식물체의 조직 및 토양 내에서 균핵의 형태로 겨울을 지낸 후 발아하여 1차 전염원이 된다. 병원균의 감염은 주로 생육 후기에 이루어지며, 수확기에 이르러 병 증상이 나타난다. 이 병은 고온기에 발생하며, 질소가 부족한 사질토의 포장이나 배수가 불량한 포장에서 발생하기가 쉽다.. 2023. 9. 21.
럼피스킨병(LSD, lumpy skin disease) 예방 ◈ 럼피스킨병이란 ◇ 정 의 럼피스킨병(LSD, lumpy skin disease)이란 소과 동물 중 소 및 물소 등에서 주로발생하는 질병으로서 피부, 점막, 내부장기의 결절과 여윔, 림프절 종대, 피부부종을 특징으로하는 소의 급·만성의 바이러스성 질병이다. 젖소의 생산성 저하로 인한 경제적 피해를초래하기도 한다. 이 질병은 가축전염병 예방법상 제1종 가축전염병이며, 세계동물보건기구(WOAH)에서 관리대상 질병으로 분류․지정하고 있으며 발생 시 WOAH에통지해야 하는 질병이다. ◇ 병인체 럼피스킨병의 병인체는 폭스바이러스과 카프리폭스바이러스속에 속하는 럼피스킨병바이러스(LSDV)이며 이중가닥 DNA(150kb)로 같은 Capripoxivirus속 바이러스인 양두·산양두와 높은 유사성(96%)을 가진다. .. 2023. 8. 4.
블루베리 갈색무늬병의 원인 환경 방제 방법 ◈ 블루베리 갈색무늬병 블루베리 갈색무늬병은 주로 알트나레아 알리나타(Alternaria alternata)라는 곰팡이에 의해 발생하는 식물병입니다. 이 병은 블루베리 재배 농가에서 경제적 손실을 초래할 수 있는 중요한 병 증상 중 하나로 여겨집니다. ◇ 원인 블루베리 갈색무늬병은 알트나레아 알리나타에 의해 발생하며, 이 곰팡이는 감염된 잔뿌리, 울타리, 가드닝 도구 등으로 전파됩니다. ◇ 환경 갈색무늬병은 따뜻하고 습한 환경에서 빠르게 번성합니다. 곰팡이는 습기가 높은 기상 조건에서 더 빠르게 확산되며, 비올때가 위험성이 높습니다. 증상: 갈색무늬병의 주요 증상은 잎의 노란 반점 또는 갈색 반점입니다. 그 후 갈색 얼룩은 점차 커져 잎이 크게 손상됩니다. 가지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에는 가지가 마르고 죽.. 2023. 7. 11.
포도 새눈무늬병, 포도 갈색무늬병 원인, 증상, 방제 ◈ 포도의 새눈무늬병과 갈색무늬병은 각각 다른 원인과 증상 방재법 ◇ 포도의 새눈무늬병과 갈색무늬병의 원인은 ▶ 새눈무늬병: Elsinoe ampelina(Elsinoe ampelina (de Bary) Shear) 이 침입하여 발생합니다. ▶ 갈색무늬병: Pseudocercospora vitis(Pseudocercospora vitis (Lev.) Spegez)에 의해서 발생합니다. ◇ 포도의 새눈무늬병과 갈색무늬병의 환경과 증상 ▶ 새눈무늬병: 포도나무의 잎에 갈색의 작은 무늬가 생기며, 확산되어 결국은 잎이 노랗게 되고 낙엽됩니다. 병든 부위에서 균사상태로 겨울을 지낸다. 병원균은 어린 조직만을 침해하므로 5~6월에 걸쳐서 발생이 심하나, 장마철이 지나고 여름에 들면서부터 발생이 적다. 습한 환경과.. 2023. 7. 10.
딸기 탄저병 딸기 탄저병 어떤환경에서 발생하나요? 병원균은 식물체의 병든 부위에서 자낭각과 균사의 형태로 월동후, 1차 전염원이 된다. 병원균의 전반은 주로 분생포자에 의해서 이루어지며, 시설재배 포장이나 노지포장에서 온도와 습도가 높을 때 병발생이 심하다. 어떤증상이 있나요? 관부, 잎자루, 포복경에 발생한다. 감염된 식물체의 관부(冠部)는 적갈색 내지 암갈색으로 변하여 썩고, 진전되면 관부의 내부까지 썩어 들어간다. 병든 식물체의 지상부는 감염된 쪽의 잎부터 말라죽고, 심하면 그루 전체가 말라죽는다. 잎자루와 포복경에서는 적갈색 내지 암갈색 방추형 병반으로 나타나고, 진전되면 병반이 빙둘러 확대되면서 흑색으로 변한다. 감염부위에는 담황색의 포자덩어리가 형성되며, 그 위쪽은 말라죽는다. 어떻게 방제하나요? 딸기 탄.. 2023. 7. 3.
포도 탄저병 포도 탄저병 병원균은 Glomerella cingulata [무성세대 : Colletotrichum gloeoesporioides, C. acutatun]로 식물병원 곰팡이 중 자낭균에 속하며 분생 포자와 자낭 포자를 형성한다. 균사의 발육 최적 온도는 26~29℃이며 발육 가능한 pH는 3.0 이상으로 당 함량이 5% 이상이면 발육이 양호하다. 포도알이 콩알 정도의 크기 때부터 발생할 수 있는데 담갈색 또는 흑갈색의 파리똥 모양의 작은 반점이 생긴다. 그러나 대체로 유과기에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는 흔하지 않다. 성숙함에 따라 병반이 점차 확대되며 윤문을 만들기도 한다. 특징적인 연분홍 포자를 가진 적갈색의 병반이 나타난다. 여름철에 비가 잦은 우리나라에서는 매년 발생이 심한 병으로 방제를 소홀히 하면 .. 2023. 7.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