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마트팜

스마트팜 특화작물 재배 vs 특화작물 스마트팜 재배

by K-SMARTFARM 2023. 7. 15.
반응형

◈ 특화작물 스마트팜 재배

특화작물 사과 딸기 포도

스마트팜과 특화작물 재배

스마트팜은 농작물 생산에 있어서 기존의 농업 방식과는 다른 방식으로 농작물을 재배하는 방식입니다.

스마트팜에서는 농작물의 생육환경을 철저하게 관리하며, 이를 위해 다양한 센서와 IoT 기술을 활용합니다.

 

특화작물 재배에 있어서도 스마트팜은 많은 도움이 됩니다.

예를 들어 우리나라에서는 새싹인삼 재배에 특화된 컨테이너형 스마트팜 환경설비를 구축하고 ICT 융합통합관리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여 첨단농업생산구현 및 미래융합 신산업 선도가 가능하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한국에서 주로 재배되는 특화 작물 고추, 배, 감자, 쌀, 시금치

위에 언급된 작물 외에도 다양한 특화 작물이 재배되고 있고, 포천시에서는 벼, 사과, 포도, 인삼을 비롯해 콩, 시설엽채, 마늘, 대추 등 지역 내 농업인의 선호도와 수요를 맞춘 작목별 재배기술을 중점으로 교육하고 있고, 포천시 농업기술센터에서는 밭작물 재배기술 지도와 고품질 쌀 생산 재배기술 지도 등 다양한 농작물 재배기술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그 외에 전남 나주에서는 참외, 전북 익산에서는 쌀, 경북 안동 마와 단호박 등이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지역별 특화작물들이 스마트팜의 시스템과 연계되어 재배되어 생산성을 높이고 있으며, 현재 보급형이나 특화작물에 맞는 스마트팜 시스템을 개발을 하고 있고, 일부 작물에는 표준화된 시스템에 대한 연구 결과를 발표하기도 했습니다.

 

특화작물의 스마트팜 재배는 농작물 생산의 효율성과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정보 통신 기술을 활용하는 혁신적인 방법입니다. 스마트팜은 다양한 기술을 활용하여 작물의 생육 환경을 자동으로 모니터링하고, 작물의 성장과 관리를 최적화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이를 통해 더욱 효율적인 농작업을 할 수 있으며, 작물의 수확량과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특화작물 딸기

 

◇ 스마트팜에서 특화작물을 재배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술과 시스템

1. 센서 기술: 작물 환경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다양한 센서들이 사용됩니다. 토양 수분, 온도, 조도, 습도 등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작물의 상태를 파악하고 조절하는데 활용됩니다. 센서 데이터는 작물의 성장과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데 사용됩니다.

2. 자동 관리 시스템: 스마트팜은 자동 관리 시스템을 통해 작물의 환경을 자동으로 제어합니다.

예를 들어, 자동으로 물을 공급하는 관개 시스템, 온도와 조명을 제어하는 기기, 영양분을 공급하는 스마트한 시스템 등이 사용됩니다. 이러한 시스템은 작물의 성장에 필요한 최적의 환경을 제공하여 생산성을 극대화합니다.

3. 데이터 분석과 예측: 스마트팜은 수집된 센서 데이터를 분석하여 작물의 성장과 관련된 패턴과 트렌드를 파악합니다.

이를 통해 미래의 작물 성장을 예측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작물 질병 예방을 위한 조기 경고 시스템을 구축하거나, 작물의 생육 조건을 최적화하기 위한 의사 결정을 할 수 있습니다.

4. 자동화 로봇과 드론: 스마트팜에서는 자동화 로봇과 드론을 활용하여 작물의 관리와 수확 작업을 자동화합니다. 예를 들어, 자율 주행 로봇은 작물의 병충해를 감지하고 관리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드론은 작물의 성장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작물의 수확 작업을 지원할 수 있습니다.

 

스마트팜을 통해 특화작물을 재배하면 작물 생산의 효율성과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작물의 성장 환경을 정밀하게 모니터링하고 조절함으로써 작물의 성장 속도와 품질을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또한, 자동화된 시스템과 로봇의 도움을 받으면 인력 투입을 줄이고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

특화작물 포도

◇ 스마트팜으로 특화작물을 재배하는 실제 사례

☞ 스마트 딸기 농장:

일본의 미야기현에 위치한 스마트 딸기 농장은 자동화 시스템과 센서를 활용하여 딸기를 생산하는 농장입니다. 실내에서 재배되는 딸기는 센서를 통해 온도, 습도, 조도 등의 환경 요소를 모니터링하고, 자동 관리 시스템을 통해 물과 영양분을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또한, 컴퓨터 비전과 로봇 기술을 활용하여 자동으로 딸기를 수확하는 작업도 이루어집니다.

☞ 스마트 토마토 농장:

네덜란드의 스마트 토마토 농장은 LED 조명과 자동화 시스템을 통해 토마토를 재배합니다. LED 조명은 토마토의 성장에 필요한 적절한 스펙트럼과 조도를 조절할 수 있어, 계절과 날씨에 구애받지 않고 연중 토마토를 재배할 수 있습니다.

자동화 시스템은 토마토의 관리 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하며, 센서를 통해 토마토의 생육 환경을 모니터링하여 최적의 조건을 제공합니다.

☞ 스마트 상추 농장:

미국의 일부 지역에서는 스마트 상추 농장이 성공적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이 농장은 IoT 기기와 클라우드 기반 플랫폼을 활용하여 상추의 생장 환경을 모니터링하고 관리합니다. 센서를 통해 토양 수분, 온도, 습도 등을 측정하며, 이 데이터를 분석하여 물의 소비를 최소화하고 상추의 생산성을 극대화합니다.

 

이 외에도 스마트팜을 통해 재배되는 특화작물은 다양합니다. 예를 들어, 스마트 파프리카 농장, 스마트 버섯 재배 시스템, 스마트 차나무 농장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스마트팜은 자동화, 센서, 데이터 분석, 자동화 로봇 등 다양한 기술을 활용하여 효율적이고 지능적인 작물 재배를 실현하고 있고, 우리나라도 특화작물을 재배하는 스마트팜들이 늘어나고 있고 기술개발고 같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특화작물 재배에 관련된 사항은 각 지역별 특화작물 담당 부서인 농업기술센터 등을 찾아 주세요

 

특화작물 재배를 담당하는 기관과 담당 부서

- 농림축산식품부 (농식품부)

대한민국의 농업 및 작물 관련 정책을 담당하는 중앙 정부 기관입니다.

웹사이트: https://www.mafra.go.kr/ 연락처: 농식품부 고객센터 (전화번호: 02-500-7000)

- 국립원예특작과학원

특화작물 및 원예 관련 연구 및 개발을 담당하는 기관입니다.

웹사이트: https://www.nhri.go.kr/ 연락처: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본원 (전화번호: 031-290-2000)

- 기타 각지역 농업기술센터 및 농업기술센터

 

대표적인 특화작물과 담당 기관의 예시입니다.

- 농림축산식품부: 아로니아, 팥, 감자, 아이스버그상추, 쑥 등

- 원예특작실: 난, 관엽식물, 수경재배 작물 등

-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초원양초, 약초, 관상용 화분 작물 등

- 환경부 수경작물 지원사업: 수경 작물 등

포천시 특화작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