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병충해

감자탄저병

by K-SMARTFARM 2023. 9. 21.
반응형

◈  감자탄저병

감염된 식물은 줄기, 잎 또는 과일에 물에 젖은 어두운 병변을 나타냅니다 . 이러한 병변의 중심은 특히 습하고 따뜻한 날씨에 분홍색의 젤라틴 같은 포자 덩어리로 덮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감탄저병은 아름다운 수확물을 단 며칠 만에 썩은 쓰레기로 만들 수 있습니다.

 이 병은 Phytophthora infestans라는 곰팡이류에 의해 발생하며, 환경 조건에 따라 심각도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감자탄저병

 

 

 

어떤 환경에서 발생하나요?

병든 식물체의 조직 및 토양 내에서 균핵의 형태로 겨울을 지낸 후 발아하여 1차 전염원이 된다. 병원균의 감염은 주로 생육 후기에 이루어지며, 수확기에 이르러 병 증상이 나타난다. 이 병은 고온기에 발생하며, 질소가 부족한 사질토의 포장이나 배수가 불량한 포장에서 발생하기가 쉽다. 또한 이 병은 식물체가 생리적인 장해나 다른 병으로 인한 피해를 받았을 때 복합적으로 심하게 발생한다.

주로 습기가 많고 비가 자주 오는 기후에서 발생합니다.

곰팡이의 포자들은 바람과 비로 쉽게 전파되며, 일단 감염되면 빠르게 퍼져나갑니다.

병원균은 잔재물에서 오랫동안 살아남을 수 있어, 전년도의 감염된 작물 잔여물로부터 다음 해 병이 재발할 수 있습니다.

 

 

어떤 증상이 있나요?

감염된 식물체의 지상부는 초기에 푸른 상태로 약간 시들다가 병이 계속 진전되면 전체적으로 퇴색하고, 누렇게 변해 심하게 시들며, 후에 말라 죽는다. 줄기의 지상부 및 지하부와 뿌리, 포복경, 괴경의 감염 부위에는 검은 점처럼 보이는 소립의 균핵이 많이 붙어 있다. 병든 식물체의 뿌리는 콜크화 되어 썩고, 뿌리의 심부와 표피층은 쉽게 분리되며 부서진다.

초기 단계에서는 잎의 하부에 작고 백색의 부스러기를 동반한 갈색 반점이 생깁니다.

이 반점들은 점차 커져서 까맣게 변하고 마침내 전체 잎을 파괴할 수 있습니다.

줄기와 줄기와 연결된 부분에도 이러한 반점이 나타납니다.

실제로 가장 큰 문제는 흙 속의 감자에 생기는 부패입니다. 외부에서 보면 정상적인 것처럼 보일 수 있는 감자를 껍질 벗겨보면 내부가 까맣게 변해있습니다.

 

어떻게 방제하나요?

- 건강한 종자 사용: 탄저병으로 인해 오염된 종자 사용을 피하고 건강한 종자만 사용하세요.

- 비기주 작물로 윤작한다.

- 등록된 약제로 종서소독하여 파종한다.

- 병원균이 오래 살아남지 못하도록 사전 청소 및 제거를 통해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화학적 방제: 질병 초기 발견 시 무작정 화학적 방제를 시작하기보다 약품 사용을 잘 관리하고, 필요한 경우에만 적절히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병원균은 빠르게 약물 내성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방제제를 번갈아가며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 생물학적 방제: 특정 유익 세균이나 곰팡이류는 탄저병 병원균의 성장을 억제하거나 파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이러한 생물학적 방법은 환경에 친화적인 대안일 수 있습니다.

- 내성 품종 개발: 연구자들은 탄저병에 내성을 가진 감자 품종 개발에 많은 시간과 노력을 들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내성 품종의 도입과 활용은 장기적으로 병의 발생률과 영향력을 줄일 수 있는 중요한 전략입니다.

감자 탄저병 관리는 주로 예방에 초점을 맞추어야 합니다. 일단 병이 발생하면 완전히 제거하기가 어렵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건강한 종자 선택, 적절한 작물 회전, 청결 유지 등의 예방 조치가 필수적입니다.

감자탄저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