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병충해

포도 새눈무늬병, 포도 갈색무늬병 원인, 증상, 방제

by K-SMARTFARM 2023. 7. 10.
반응형

◈ 포도의 새눈무늬병과 갈색무늬병은 각각 다른 원인과 증상 방재법

◇ 포도의 새눈무늬병과 갈색무늬병의 원인은

 ▶ 새눈무늬병: Elsinoe ampelina(Elsinoe ampelina (de Bary) Shear) 이 침입하여 발생합니다.

 ▶ 갈색무늬병: Pseudocercospora vitis(Pseudocercospora vitis (Lev.) Spegez)에 의해서 발생합니다.

 

◇ 포도의 새눈무늬병과 갈색무늬병의 환경과 증상

 ▶ 새눈무늬병: 포도나무의 잎에 갈색의 작은 무늬가 생기며, 확산되어 결국은 잎이 노랗게 되고 낙엽됩니다.

병든 부위에서 균사상태로 겨울을 지낸다. 병원균은 어린 조직만을 침해하므로 5~6월에 걸쳐서 발생이 심하나, 장마철이 지나고 여름에 들면서부터 발생이 적다. 습한 환경과 우천 후 폭발력이 낮은 설치복적이 발병을 촉진합니다

 

잎, 열매, 줄기 덩굴손에 발생한다. 잎에는 잎맥상에서 흑갈색, 중심부는 회백색 내지 갈색, 원형 내지 타원형의 직경 2~5㎜의 병반이 형성된다. 후기에는 흑색반점이 확대되어 구멍이 뚫린다. 병반이 많이 형성되면 생장이 정지되고 기형화된다. 열매에는 초기에 흑갈색의 작은 반점이 돋지만, 움푹해진 안쪽은 회백색 내지 자흑색이 되어 새의 눈처럼 보인다. 피해과는 딱딱하고 신맛이 난다.

 ▶ 갈색무늬병: 잎에 갈색의 둥근 무늬가 생기며, 중심부가 갈색, 주변부는 료황색 생상이 나타납니다. 심할 경우에는 낙엽됩니다.

결과모지의 조치간극에 부착된 분생포자와 낙엽 병반 조직의 균사나 분생포자 상태로겨울을 지낸다. 개화 직후 강우로 형성된 분생포자가 잎뒷면의 기공을 통해 침입하며, 15~20일의 잠복기간을 거쳐 발병한다. 초발은 6월 상,중순이 되며, 여기서 형성된 분생포자가 2차전염원이 된다. 습한 다습한 환경에서 자주 발생하며, 기온 일교차가 큰 경우 발병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성숙된 잎에 등황색 내지 흑갈색의 병반이 형성된다. 초기 병징은 흑색의 작은 반점으로 시작, 병반 주위는 노란 환문이 생기며, 병이 진전 되면서 직경 1~2㎝ 크기의 다각형 병반을 만든다. 잎 뒷면은 다량의 분생자경 형성으로 흑갈색을 띤다. 많이 발생한 경우에는 7~8월 이후 황변하여 조기 낙엽을 일으킨다.

포도의 갈색무늬병

◇ 포도의 새눈무늬병과 갈색무늬병의 방재방법

▶ 새눈무늬병: 병든 가지, 과실, 덩굴손 등을 제거한다. 질소비료의 과용이 되지 않도록 하며 수세를 충실하게 관리한다. 비에 의해 병원균이 비산되므로 비가림 재배로 병 발생을 줄인다. 월동직후 발아 전에 석회유황합제를 살포한다. 신초가 5cm 정도 자란 시기부터 장마철까지의 기간 특히 장마시기가 중요한 방제시기이다.

 

▶ 갈색무늬병: 나무 세력이 약한 나무에 잘 발생하므로 질소가 많지 않도록 하는 비료관리와 햇빛과 바람이 잘 통하도록 나무관리에 주의하며 물빠짐 등에 유의해야 하고, 전염원이 되는 병든 낙엽은 긁어모아 태워 버린다. 월동기 포도나무의 발아 전에 석회유황합제를 살포한다. 생육기에는 탄저병 방제를 겸해서 등록약제를 잎 뒷면 중심으로 충분히 살포한다. 병 발생시기와 장마철이 중복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약제 살포시기를 놓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  종합 방제 및 관리

1. 병원균에 감수성이 낮은 품종을 선택하여 재배합니다.

2. 포도나무의 관리를 통해 강한 나무로 키웁니다.

3. 가지치기나 감전작업을 통해 나무 주변의 통풍을 원활하게 유지하고, 습도를 낮춥니다.

4. 질병 발병 초기에 위생적 방제를 시행하여 병원균의 전파를 방지합니다. 백록산, 카밍, 알리엣 등의 친환경 퇴비제를 사용하여 소독 작업을 합니다.

5. 감염된 잎과 가지를 정기적으로 제거하고, 소독한 후 파기합니다.

위의 조치를 취해 질병 발생을 최소화하고, 건강한 포도를 재배할 수 있습니다. 특히 초기 발병 증상을 주의 깊게 관찰하고, 적절한 조치를 시기에 따라 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병충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감자탄저병  (0) 2023.09.21
럼피스킨병(LSD, lumpy skin disease) 예방  (0) 2023.08.04
블루베리 갈색무늬병의 원인 환경 방제 방법  (0) 2023.07.11
딸기 탄저병  (1) 2023.07.03
포도 탄저병  (1) 2023.07.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