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병충해

고추탄저병

by K-SMARTFARM 2023. 9. 21.
반응형

◈ 고추탄저병

고추탄저병

어떤 환경에서 발생하나요?

병원균은 종자 혹은 병든 부위에서 자낭각과 균사의 형태로 겨울을 지내고 1차 전염원이 된다. 병의 전반은 주로 분생포자에 의해 이루어지며, 시설재배 포장보다는 노지포장에서 병 발생이 심하다. 노지포장에서는 여름철 장마기에 분생포자가 주로 비, 바람에 의해 전반된다. 노지재배의 풋고추에서는 7월 초순부터 병이 발생하기 시작하여 수확기까지 계속 발생한다.

병원체는 약 27⁰C의 온도와 많은 강수량 원인이 됩니다. 병원균은 종자 내부나 표면에서 생존합니다. 또한 미세경화증(microsclerotia)의 형태로 토양에서 겨울을 보낼 수 있습니다. 미세경화증은 극한 조건에 대비해 영양분을 보유하고 있는 경화된 균사체의 매우 작고 조밀한 덩어리입니다. 빗물이 튀면서 감염된 토양, 식물 잔해 및/또는 과일에서 근처 식물로 곰팡이 포자가 운반됩니다. 비가 너무 많이 오면 감염률이 높아지고 농작물이 손실될 수 있습니다.

 

어떤 증상이 있나요?

주로 과실에 발생한다. 과실에는 처음에 감염부위가 수침상으로 약간 움푹 들어간 원형반점으로 나타나고, 진전되면 병반이 원형 내지 부정형의 겹무늬 증상으로 확대된다. 병반부위에는 담황색 내지 황갈색의 포자덩어리가 형성되고, 심하게 병든 과실은 비틀어지고 미이라처럼 말라버린다. 성숙과의 병반은 간혹 흑색의 겹무늬 증상을 띄는 것도 있으며, 수확 후 건조하는 과정에서 병 증상이 나타나는 것도 있다.

 

어떻게 방제하나요?

- 건전종자를 파종하고, 건전묘를 이식한다.

- 종자를 소독하여 파종한다.

- 이 병에 잘 걸리지 않는 품종을 선택하여 재배한다.

- 등록약제를 병 발생 초기부터 살포한다.

 

· 무병원균 종자를 사용합니다 .

· 질병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병원균이 없는 것으로 인증되거나 알려진 종자 공급원을 선택하십시오.

· 작물을 회전시킵니다. 작물은 2~3년 동안 비자생 식물로 돌려짓기해야 합니다. 딸기는 대체숙주이기 때문에 이 작물도 피해야 합니다.

· 물의 튀김을 방지하는 관개 시스템을 통합해야 합니다. 또한, 식물이 젖었을 때 현장 작업을 제한하면 확산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 과일을 수확한 후에는 즉시 밭을 깎아야 합니다. 감염된 물질이 완전히 분해되도록 모든 식물 잔해를 토양으로 다시 처리해야 합니다.

· 스카우트 필드. 질병 징후가 있는지 밭을 자주 모니터링하고 감염된 과일을 즉시 제거하십시오.

· 검정색 플라스틱이나 기타 재질을 사용하십시오. 토양의 병원균과 식물 사이에 장벽을 만들면 질병이 최소화됩니다. 검은색 플라스틱의 대안으로는 짚이나 나무 칩 덮개가 있습니다. 단, 접종원이 식물 재료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적절한 장벽을 형성해야 합니다.

· 적절한 배수. 농작물에 과도한 수분과 물이 쌓이는 것을 줄이려면 좋은 배수가 필요합니다.

·  살균제 사용. 살균제는 예방 목적으로(질병이 발생하기 전) 적용할 때 가장 효과적입니다.

고추탄저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