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마트팜

스마트팜 해외진출 - 국내 스마트팜 산업동향 2(주요 분야별 시장)

by K-SMARTFARM 2023. 7. 31.
반응형

◈ 주요분야별시장

가. 스마트팜 시장 분석

(1) 개요

 

시장 동향

● (시장 규모 및 성장률) ‘중소기업 전략기술로드맵 스마트팜’14)에 따르면 2018년 국내 스마트팜 시장 규모는 4조 7,474억 원(약 35억 달러)으로, 2022년까지 연평균 5.0% 성장률을 기록하여 5조 9,588억 원(약 45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측됨 ● (제품 유통 방식) 기업 측에서 제품 및 서비스를 직접 영업해 유통하는 방식이 75.5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간접적인 방식으로 위탁 영업을 채택하는 경우는 15.4%로 비교적 낮은 수치로 조사됨.

국내 스마트팜 시장규모

기술 분야별 세부 동향

● (분야별 점유율) 농림축산식품부16)에 따르면 2020년 기준 스마트팜 생산 관련 장비 공급 분야가 45.5%로 스마트팜 시장 내 가장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며 지능형 농기계 분야가 23.56%로 그 뒤를 이음.

● (분야별 산업 규모) 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한 스마트팜 생산 관련 장비 공급 분야 시장 가치는 약 3,551억 2,500만 원으로 추산되며 2위인 지능형 농기계 분야는 1,838억 8,400만 원으로 추정됨.

기술 분야별 시장 규모 및  점유율

● (기술 수준) 2018년 한국과학기술평가원 기술수준평가17)에 따르면 우리나라 스마트팜 관련 기술은 최고 수준인 EU 국가를 100으로 두고 비교했을 때 약 75.5% 수준에 불과하며, 이는약 4.8년의 기술 격차에 해당함.

 - 우리나라 농업 ICT 융합 기술 격차는 기술 최고 수준인 미국과 비교했을 때 약 4.6년가량 뒤처짐

 

나. 기업 동향

(1) 기업 분류

개요

● (분류 기준) 농림축산식품부는 국내 스마트팜 기업을 생산·유통·서비스·정보통신 인프라 등 기능적 측면을 기준으로 분류한 바 있음.

 - 위 분류 기준에서 스마트팜 기술 및 서비스의 생산 유통과 직접적 연관성이 떨어지는 정보통신 인프라(데스크탑, 노트북

   등 주변 기기 제공, CCTV 등 녹화 장비 제공, 유·무선 통신 서비스 제공)을 제외한 나머지 범주에 초점을 두어 분류함

   생산 관련 기업.

● (온실 시공 업체) 스마트팜의 본체가 되는 온실을 제작 및 시공함.

● (관련 장비 생산 및 공급 업체) 센서·IoT 기술을 보유함 •센서, 양액기, 냉난방기 등

 - 축산 분야 자동급이기, 사료 관리기, 음수 관리기, 착유기 등 - 중소기업 기술로드맵에 따르면 스마트축산 관련 주요 기자 재 및 설비들은 외국에서 수입되어 조합되고 변형되어 적용되는 경우가 많아 해외 의존도가 높은 것으로 드러남.

- 기기 국산화와 표준화가 미흡한 수준에서 이루어져있음.

● (지능형 농기계·로보틱스 공급 업체) GPS·GIS 기술, 자율주행 기술, 원격 제어 기능 등이 탑재된 지능형 농기계, 착유 로봇, 수확 기계 등을 생산함.

● (소프트웨어 공급 업체) 통합제어시스템, 농장 관리 애플리케이션, 원격제어시스템, 토양·수확·생육 솔루션 등을 제작함

유통 관련 기업

● (유통 관련 장비 공급 업체) 수확물 저장 관리 장비 등을 공급함.

● (유통 관련 소프트웨어 공급 업체) 수확량 정보 예측 시스템 등을 제공함 데이터 분석·소프트웨어 제공 업체

● (빅데이터, 딥러닝) AI·딥러닝 기술을 활용해 농업 데이터를 분석함.

● (ICT 컨설팅) 축적된 데이터 활용하여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함.

● (ICT 교육 서비스) 농업 관련 교육 서비스를 제공함. 

 

(2) 분야별 기업 현황

업체 분포

● (등록 현황) 2021년 12월 기준 스마트팜코리아 등록업체는 821개, 관련 업체는 191개로 총 1,012 개가 존재하는 것으로 파악됨

● (적용 분야별 업체 현황) 시설원예 분야 기업이 전체 스마트팜 기업의 40.3%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며 38.3%의 비중으로 축산 분야 기업이 그 뒤를 따르고 있음 •식물공장과 노지 과수 분야의 기업은 각각 4.3%, 3.0%로 비중이 높지 않음 ● (매출 규모별 업체 현황) 5억 원 미만 기업이 35%로 가장 많으며 다음으로는 10억 이상 30억 미만 기업이 26%, 50억 이상 기업이 15.3%, 30억~50억 미만이 13.7%, 5억~10억 미만이 10%를 차지함.

 

(3) 주요기업

만나CEA

● (개요) 미국 농무부에서 인증받은 아쿠아포닉스를 기반으로 독자적인 환경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 기업으로 웹사이트 접속만으로 대략적인 농장 견적을 받아볼 수 있는 ‘농장 견적 책정 시스템’을 도입함.

 •아쿠아포닉스(Aquaponics): 어류의 부산물을 미생물 발효해 식물에게 영양분을 공급하며, 더 많은 영양분을 공급할 수 있어 작물 품질 향상이 가능함.

● (해외 진출 현황) 2018년 카자흐스탄에 아쿠아포닉스 농법의 스마트팜을 설치하였으며, 2019년 UAE와 사우디아라비아에서 현지 업체와 수출 계약을 맺어 플랜트 형태의 식물공장을 수출함.

스마트팜 식물공장 해외진출

그린아그로텍

● (개요) IT 기술과 페로몬을 활용한 해충 방제 트랩을 제공함.

•IT-페로몬트랩: 곤충 페로몬을 활용해 해충 발생 정보를 수집, 전송하여 사용자에게 데이터와 결과를 제공함.

방제 스마트팜 수출

넥스트온

● (개요) 식물 공장을 통해 일반 엽채류뿐만 아니라 프리미엄 딸기 등 고부가 과채의 대량 생산, 고기능성 바이오 소재의 개발 및 판매까지 사업 분야를 확장하고 있으며, 고급 마트, 호텔 등 하이 엔드 시장을 공략해 공급채널을 확보함.

•2019년 대마 재배자 허가를 취득한 바 있으며, 2020년에는 식물공장으로서 유일하게 대마 전문 학술허가를 취득함

● (해외 진출 현황) 2022년 캐나다 및 중동 지역에 엽채류, 딸기를 재배하는 수직농장 계약을 협의중.

수직농장 스마트팜 수출

알가팜텍

● (개요) 이동형 무빙랙을 활용하는 수직농장 기업으로 회전형 LED를 활용해 투자비용과 광효율을 극대화하는 기술을 보유함.

•모델하우스 인테리어용 수직농장, 대구 도시재생 지원센터의 커뮤니티룸 자립형 식물공장 등 도시 공간을 활용한 프로젝트를 진행한 바 있음.

컨테이너형  식물공장

그린플러스

● (개요) 알루미늄 압출·가공 사업을 기반으로 국내 스마트 온실 시공 능력 평가에서 10년 연속 1위를 차지하며 압도적인 주도 기업으로 발돋움하였으며 스마트 온실과 ICT 기술을 접목해 작물 생육 환경을 통제함.

 • 딸기 스마트팜을 시작으로 식물 공장 시장에 진입함.

 • 수산 분야, 기존 알루미늄 사업 또한 병행하고 있으나 스마트팜 분야에서 선두 기업으로 활약 하고 있음.

 • 자회사 그린 케이팜을 통해 자체 스마트팜 사업을 운영하고 있음.

온실 스마트팜

플랜티팜

● (개요) 모회사 팜에이트에서 분리되어 수직농장 설치와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업으로 서울 지하철 5개 역사 내 메트로팜을 설치하고 남극 세종 기지에 컨테이너형 스마트팜을 설치하는 성과를 이룬 바 있음.

 • 수직농장 설치에 이어 고객과 계약재배를 통해 팜에이트에 농산물을 납품하는 구조로 고객에게 안정적 수요처라는 메리트를 제공함.

• 실내형, 컨테이너형과 가전제품 형태의 가정·상업용 형태의 제품을 갖추고 있음

• 신선 채소뿐만 아니라 약용 작물 및 허브 33종, 식용화 채소 6종 등 특수 작물 재배 기법을 보유하고 있으며 인삼·대마·고추냉이·바이오 원료 작물 등 고부가작물 재배에도 적용 범위를 확대하고 있음.

● (도시농업) 답십리역, 상도역, 천왕역, 충정로역, 을지로3가역 역사 내 좁은 공간을 활용해 수직 농장이 설치한 메트로팜 사업을 시행하고 있음.

 • 바로 수확한 채소를 사용해 음식을 제공하는 ‘Farm to Restaurant’ 방식의 ‘팜 카페’를 운영하고 있음.

 • KDB산업은행, 현대백화점 등 도심 공간을 활용해 LED 수경재배 시설을 설치하고 운영함.

● (해외 진출 현황) 2021년 쿠웨이트에 버터헤드레터스 등 고부가가치 채소 재배용 수직농장을 건설 하고 있으며 남극, 일본에도 수출 경험을 보유함 •해외 매출이 30억 원에 육박해 전체 매출의 11%로 추산됨.

스마트팜 컨설팅

그린랩스

● (개요) 데이터 통합 스마트팜 솔루션 ‘팜모닝’을 제공하는 한편 B2B 유통 플랫폼 ‘신선하이’를 구축한 바 있으며 ‘팜모닝’의 경우 출시 2년 만에 회원 수 70만 명을 돌파하는 기록을 세움.

● (해외 진출 현황) 2021년 축산 스마트팜 통합솔루션 기업 리얼팜을 인수, 축산 분야까지 사업 분 야를 확장한 바 있으며 중국 농업기업 션라이농업과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함.

스마트팜 환경제어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