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돈되는 모든 정보

2023년 청탁금지법이 달라집니다

by K-SMARTFARM 2023. 9. 1.
반응형

◈  2023년 8월 30일부터 청탁금지법이 달라집니다

◇ 달라진 청탁금지법 내용

☞ 농수산물·농수산물가공품 선물가액 상향

☞ 선물에 물품 및 용역상품권 포함

 

◇ 청탁금지법 달라진 이유? 

자연재해와 수요급감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농·축·수산업계, 문화·예술업계 등을 위해 선물의 가액범위를 조정하는 청탁금지법 시행령 개정(2023. 8. 30)을 하였습니다. 

 

◇ 청탁금지법 어떻게 바뀌나요? 

농수산물·농수산 가공품 선물가액 상향

 ※ 기존 10만원(설날·추석 20만원) ==> 변경 15만원(설날·추석 30만원)

선물에 물품 및 용역상품권 포함

 ※ 기존 물품만 가능 ==> 변경 물품 + 용역상품권

    용역상품권: 온라인·모바일 상품권, 기프티콘 등, 문화상품권(연극·영화·공연·스포츠 등)

                            ※ 금액상품권 제외(백화점 상품권 등)

◇ 청탁금지법 위반 신고 안내

 

청탁금지법 위반행위 신고대상

 - 직접 또는 제3자를 통하여 직무를 수행하는 공직자등에게 법 제5조제1항 각 호에 따른 부정청탁을 하거나 부정청탁을

   받은 공직자등이 법 제6조를 위반하여 부정청탁에 따라 직무를 수행하는 행위

 - 공직자등 또는 그 공직자등의 배우자가 법 제8조에 따른 수수 금지 금품등을 받거나 요구 또는 약속하는 행위 (공직자등

   에게 그 공직자등의 배우자에게 수수 금지 금품등을 제공하거나 제공의 약속 또는 의사표시 하는 행위)

 - 공직자등이 신고하지 않고 법 제10조에 따른 외부강의등을 하거나 청탁금지법 시행령 별표2에서 정하는 금액을 초과

  하여 사례금을 수수하는 행위

 - 그 밖에 이 법에서 정하고 있는 사항을 위반하는 행위

 

☞ 청탁금지법 위반행위

 - 누구든지 청탁금지법 위반 사실을 알게 된 때에는 국민권익위원회에 신고할 수 있습니다.

  • 상담전화
    전국 어디서나 국번없이 110번(무료) 또는 1398번(무료)

  • 우편신고
    (30102) 세종특별자치시 도움5로 20 정부세종청사 7동, 국민권익위원회

    팩스신고
     044-200-7972
  • 방문신고

    국민권익위원회
    (30102) 세종특별자치시 도움5로 20(세종청사 7동), 국민권익위원회
    대표전화 국번없이 110(무료)
    (평일 09:00~21:00, 토요일 09:00~13:00)
    당직실 044-200-7900(야간, 공휴일)

    정부합동민원센터
    (03172)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로8길 60 정부서울청사 별관 1층
    대표전화 국번없이 1398(무료) (평일 09:00~18:00)
 

 

 청탁금지법 위반행위 신고처리 절차

 - 국민권익위원회에 청탁금지법 위반행위 신고가 접수되면 사실 확인 절차를 거쳐 조사가 필요한 경우 감사원, 수사기관

   또는 해당 공공기관의 감독기관 등에 이첩하여 그 조사결과를 통보 받아 신고자에게 알려드립니다.

 - 청탁금지법 제13조제1항에 따른 신고에 의하여 직접적인 공공기관 수입의 회복이나 증대 또는 비용의 절감 등을 가져온

   경우, 위원회는 신고자에게 보상금 등을 지급하고 있습니다.

 - 위원회는 신고자가 안심하고 청탁금지법 위반행위를 신고할 수 있도록 신고자, 협조자 등에 대한 신분보장·신변보호·

   비밀보장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청탁금지법 위반행위 신고처리 절차

 

※ 농수산물가공품의 경우 원재료 비율을 확인하셔야 합니다.

☞ 5만원 이하의 선물

농수산가공품의 농수산물 원재료 비중이 50%가 되지 않더라도 선물이 가능합니다.

5만원 초과 ~ 10만원 이하의 선물 (농수산물 또는 농수산물을 원·재료로 50% 넘게 사용하여 가공한 농수산 가공품)

 

▶ 식품 포장재에 표시되어 있는 원재료명과 함량을 확인하세요.

제품명에 농산물 명칭(예 : 사과주스)이 사용된 경우, 제품의 정보표시면에 농산물 함량을 표기하게 되어있으며,

제품명에 농산물 명칭이 사용되지 않더라도 많은 경우 정보표시면에 원재료명과 함량이 표시되어 있습니다.

※ 고형제품(예: 한과), 농축제품(사과주스 등), 주류제품 등   "원재료가 50%이상" 이어야 하며 농축액이나 주류에 도수를

    맞추기 위해 첨가한 물 등은 "원재로 상태로 환산 비율이 적용" 되기에 소비자들이 제품 정보를 보고 쉽게 판단하기 어

    려울 수 있습니다.....그래서  적합한  제품은 "청탁금지법 가액기준 적합 스티커"를 붙여서 판매하는 곳이 많으니 꼭

    확인하세요

 

※ 청탁금지법 가액기준에 적합 스티커

청탁금지법접합스티커.pdf
1.44MB
청탁금지법위반신고양식.hwp
0.02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