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돈되는 모든 정보

통신사폰과 알뜰폰 알뜰폰 요금제 가성비로 사용하기

by K-SMARTFARM 2023. 8. 13.
반응형

◈ 통신사폰과 알뜰폰의 차이  알뜰폰 요금제 가성비로 활용하기

알뜰폰 가입자수가  2019년에 775만명에서 2022년 1200만명을 넘었습니다.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최근에 뉴스를 보면  일반 통신사폰의 경우 핸드폰 값이 비싸고 매월 통신비용이 5G폰의 경우 요금제를 5G요금제로 사용해야되며 약정이 있기에 부담이된다는 것이고 경제적으로 여유가 없는 MZ세대의 경우 비싼 최신폰과 요금으로 구매하기를 꺼린다는 것이고, 이에 가성비로 사용하기 위해  자금제폰+알뜰폰으로 요금을 30~60% 정도 절약한다는 것입니다. 

 

전체적으로 보면  데이터무제한 요금제 등의 고액 통신비가 나가는 분들이라면  통신사 폰을 이용해서  여러가지 혜택을 보는 것이 유리하고  데이터나 전화의 목적이라면 알뜰폰으로 충분히 활용이 가능하다는 것이죠..

알뜰폰요금제비교

여기서 간단히 알아보면

알뜰폰과 통신사폰은 한국에서 사용되는 두 가지 다른 유형의 휴대전화이며 각각의 특징과 차이점

☞ 알뜰폰:

가격: 알뜰폰은 저렴한 가격으로 제공되는 휴대전화입니다. 보통 초기 구입 비용 및 요금제가 저렴하여 경제적인 선택입니다.

통신사: 알뜰폰은 주로 가상 통신사(VNO, Virtual Network Operator)를 통해 제공됩니다. 이는 기존 대형 통신사의 통신망을 공유하면서 독자적인 가격 정책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3의 통신사입니다.

요금제: 알뜰폰은 기본적인 통화, 문자,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며, 요금제가 간단하고 명확합니다. 그러나 일부 제한된 기능 및 부가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고객 지원: 알뜰폰은 주로 온라인을 통한 고객 지원이 주요하며, 가상 통신사의 커뮤니티나 앱을 통해 문의나 문제 해결을 할 수 있습니다.

 

☞ 통신사폰:

가격: 통신사폰은 대형 통신사의 정식 서비스를 이용하는 전화로, 가격이 일반적으로 알뜰폰보다 상대적으로 비싸지만 다양한 요금제와 부가 서비스가 제공됩니다.

통신사: 통신사폰은 한국에서 대표적인 통신사인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와 같은 기업들로부터 직접 제공되는 휴대전화입니다. 이는 기존의 통신망과 인프라를 보유하고 있어 안정성과 넓은 서비스 지역을 제공합니다.

요금제: 통신사폰은 다양한 요금제와 부가 서비스 (예: 데이터 추가 상품, 통화 할인, 프리미엄 멤버십 등)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는 자신의 요구에 맞게 최적의 요금제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고객 지원: 대형 통신사는 오프라인 매장과 전화를 통해 고객 지원을 할 수 있으며, 고객센터와 통신사 앱을 통해 문의 및 문제 해결이 가능합니다.

 

알뜰폰과 통신사폰은 가격, 서비스 종류, 고객 지원 등에서 차이가 있으며, 개인의 우선순위와 예산에 따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정보는 해당 통신사의 공식 홈페이지나 상담원에게 문의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 알뜰폰과 통신사폰을 가성비 좋게 사용하는 방법

1. 요금제 비교: 통신사의 요금제를 비교하여 자신의 사용 패턴에 가장 적합한 요금제를 선택하세요. 다양한 요금제가 있으며, 데이터 사용량, 통화 시간, 문자 메시지 등을 고려하여 경제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요금제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불필요한 부가 서비스 제거: 통신사에서 제공하는 부가 서비스 중 본인이 실제로 필요한 서비스만 선택하고, 불필요한 부가 서비스는 해지하는 것이 경제적입니다. 예를 들어, 통화 시간이 많지 않다면 무제한 통화 서비스를 선택하지 않고 필요 시에만 통화를 하거나, 데이터 사용량이 적다면 데이터 추가 상품은 선택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3. Wi-Fi 활용: Wi-Fi 환경에서는 데이터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가능한 경우 Wi-Fi를 이용하여 인터넷을 접속하세요. 외출 시에는 공공 장소나 카페 등에서 제공되는 무료 Wi-Fi를 활용하면 데이터 사용량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4. 데이터 사용량 관리: 효율적인 데이터 사용을 위해 앱의 배경 자동 업데이트, 알림 등을 비활성화하고, 데이터 사용 제한 기능을 활용하여 사용량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또한, 앱 내에서 데이터 절약 모드를 설정하거나, 스트리밍 서비스의 화질 조정 등을 통해 데이터 사용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5. 할인 및 이벤트 활용: 통신사는 할인 혜택이나 이벤트를 주기적으로 제공합니다. 이를 활용하여 요금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마케팅 메시지나 공지를 체크하고, 할인 혜택을 잘 활용해보세요.

6. 재계약 및 업그레이드 검토: 현재 사용 중인 요금제나 휴대폰을 재계약하거나 업그레이드 할 수 있는 경우, 혜택과 비용을 고려하여 재계약 여부를 검토해보세요. 할인 요금이나 무이자 할부 등의 혜택을 받을 수 있을 수도 있습니다.

알뜰폰 요금

※ 알뜰폰으로 갓성비로 핸드폰 사용하기 

▶ 알뜰폰 통신사는 40여개로 알려져 있고 그 중 10위

1위: KT M모바일

2위: SK  세븐모바일

3위: 이야기 모바일

4위: 우체국 알뜰폰

5위: 스노우맨(세종텔레콤)

6위: 스마텔 알뜰폰

7위: 리브 모바일

8위: U+유모바일

9위: A 모바일

10위: 안심모바일

 

1. 서비스 품질

알뜰폰이라고 통화나 데이터 품질이 떨어지는 건 아니에요.

이통 3사와 똑같은 통신망을 빌려 쓰기 때문. 기존 이통 3사에서 쓰는 것과 같은 통화나 데이터 서비스를 비교적 싼 가격에 이용할 수 있어요.

 

​2. 단점과 주의할 점

불편한 부분도 있습니다. 대표적인 게 고객센터와 멤버십 혜택인데요.

개통이 지연되거나 고객센터와 연결되지 않는다는 불만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고 합니다.

과도한 요금을 청구하고 계약 해지를 거부하는 사례도 있고, 알뜰폰 구매 과정 전반에 걸쳐 서비스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고 합니다.

이통 3사가 제공하는 멤버십 혜택 일부도 이용할 수 없고요. 또 보통 통신사에 가입할 때 가족끼리, 혹은 TV, 인터넷과 결합해 할인받는 경우도 많은데요. 이런 결합 할인을 많이 받는 경우, 이통 3사를 이용하는 게 오히려 저렴할 수도 있습니다.

 

정리하자면

1) 통신사 제휴 서비스는 없고 알뜰폰사의 이벤터만 있음

2) 결합할인 없음 (인터넷+통신+TV)

3) 자급제 폰 사용이나 약정이 지난폰을 알뜰폰으로 유심으로 대체 사용

4) 로밍 요금제가 별로 없음(선택폭 좁음)

5) 무제한 요금제 없음

6) 서비스 부실(고객센터 연결 어려움) ​에  대한 가입자 직접 대응 필요

 

3. 요금

평균적인 알뜰폰 요금의 경우 통신사폰과 비교하면 30%~60% 수준입니다.

절반 이하인 경우도 많습니다.

사업자가 40개나 넘기 때문에 사실상 요금제를 비교하기가 불가능합니다.

사이트를 일일이 돌아다닐 수 없으니까요.

'알뜰폰허브(https://www.mvnohub.kr/user/index.do)' 라는 사이트를 접속하면 아래와 같이 요금제 등을 입력하면 요금제를 비교할 수 있습니다

알뜰폰 허브

알뜰폰 요금제를 비교해 주는 알뜰폰 허브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가 운영하는

공공성격의 사이트입니다.

총 16개 알뜰폰 통신사의 요금제를 비교해준다고하니 비교하실 분은 사용해 보세요~

알뜰폰은 유심만 갈아끼면 바로 사용할 수 있으니 매우 간편합니다.

유심은 인터넷으로 주문 후 배송받아도 되고, 편의점에서 구매 가능한 통신 사업자는 편의점에서 바로 구매도 된다고 합니다.

 

※ 알뜰폰 갓성비 활용 두가지 방법
1. 자급제폼+알뜰폰 유심사용
2. 기존 사용 핸드폰에 약정이 지난 경우+알뜰폰 유심사용
   - 핸드폰 약정이 만료된 폰의 경우 알뜰폰으로 통신사 이동해서 사용하다  다시 통신사폰을 사용할 경우 번호이동 할인 혜택도
     누릴 수 있어요

기타 알뜰폰 티플러스(tplus), 이지모바일(EG mobile), 스마텔(smartel), 아이즈모바일, 모빙(mobing), 웰(Well),Liiv M, 프리티(freet), 인스모바일  등 엄청 많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