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관련정보/질병·상해·건강

혈액검사 의학용어 및 혈액검사 결과지 보는 법, 호산구 수치

by K-SMARTFARM 2024. 2. 28.
반응형

♥ 혈액검사 의학용어 해서 및 혈액검사 결과지 보는 법

혈액 검사는 우리 몸의 건강상태를 파악하는 중요한 방법 중 하나입니다. 다양한 종류의 혈액 검사를 통해 특정 질병의 존재를 알아내거나, 건강 상태를 평가할 수 있습니다.

 

아래에 주요한 혈액 검사의 종류와 그것을 통해 알아낼 수 있는 질병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1. 전반적인 혈액 검사(CBC: Complete Blood Count): 이 검사는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등 다양한 혈액 세포의 수치를 측정합니다. 이를 통해 빈혈, 감염, 혈액 질환 등을 감지할 수 있습니다.

2. 혈당 검사: 당뇨병을 진단하거나 관리하는 데 사용됩니다. 고혈당 또는 저혈당 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혈액응고 검사(PT, APTT): 혈액이 얼마나 빠르게 응고되는지를 측정하여 혈액응고 장애, 항응고 치료의 효과를 평가할 수 있습니다.

4. 각종 생화학적 검사: 간기능 검사(AST, ALT), 신기능 검사(BUN, Creatinine) 등은 각 기관의 기능 상태를 알 수 있습니다. 간질환, 신장질환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5. 콜레스테롤 검사: 총 콜레스테롤, LDL, HDL, 중성지방의 수치를 통해 심혈관 질환의 위험도를 평가합니다.

6. 감염 질환 검사: HIV, B형 간염, C형 간염 등의 바이러스 감염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7. 종양 마커 검사: 특정 암의 발병 가능성을 조기에 발견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각종 암의 조기 발견 및 추적 관찰에 이용됩니다.

이 외에도 많은 종류의 혈액 검사가 있으며, 각 검사는 특정한 목적과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혈액 검사 결과는 단독으로 질병을 진단하기보다는 환자의 증상, 진료 과정, 다른 검사 결과 등과 함께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사용됩니다.

혈액검사결과지 용어해석

 

★혈액검사로 알 수 있는 질병(혈액검사 종류)

●  혈액학적 검사

 ☞ 혈구검사, CBC (Complete Blood cell Count), 혈색소, 헤마토크릿,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수, 백혈구의 세포백분율 측정.

 ☞ 혈색소가 감소된 경우 빈혈 진단, 멍이 잘 들고 혈액 응고에 문제가 발생하는 혈소판 감소증을 알 수 있음.  ☞ 백혈구 수의 증감, 백혈구 백분율의 변화를 보면 백혈병 등 백혈구 질환의 잠정적 진단을 얻을 수 있음.

 ☞ CBC 에서 이상소견이 나타나면 혈액도말 검사, 골수검사등을 시행하여 CBC에서 나타난 혈액질환에 대해 더 자세한 진단을 내리게 된다.

 ☞ 혈액응고검사로 왜 출혈 경향이 생겼는지 원인을 찾게 된다. ​ ​

 

● 혈액화학검사

 ☞  혈액화학검사는 혈액 내의 각종 물질의 농도를 측정.

 ☞  혈액화학검사에서 혈당이 기준치 이상으로 높아지는 당뇨병을 진단.

 ☞  간과 관련된 각종 효소, 즉 AST, ALT, 감마-GT, 알칼라인 포스파타제 등을 측정하여 간염, 지방성 간질환, 간경화, 간암등의 진단.

 ☞ 황달의 경우 그 정도를 수치로 표현해주는 빌리루빈 등도 측정.

 ☞ 노폐물을 걸러주는 신장 기능에 이상이 왔을 때 증가되는 BUN, 크레아티닌등이 포함. ​ ​

 

● 특수화학검사 ​  

 ☞ 심근경색증, 갑상선기능항진증 및 저하증, 각종 대사산물은 선천성 또는 후천성 대사 질환의 진단을 내려줌.

 ☞ 암표지자 검사의 경우 특정 암을 진단해 주지는 못하지만 암의 진단을 위한 보조적 수단으로 사용. ​ ​

 

● 미생물학적 검사

 ☞ 세균검사를 말함.

 ☞ 박테리아, 결핵균, 바이러스, 곰팡이균등에 대한 배양검사가 모두 시행될 수 있어 감염의 원인을 밝혀 적절한 항생제를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중요한 검사임. ​ ​

 

● 면역혈청검사

 ☞ 각종 세균 및 바이러스에 대한 항원, 항체 검사 포함.

 ☞ B, C형 간염, 에이즈, 매독 등에 대한 항원, 항체 검사로 감염증을 진단함.

 ☞ 류마티즘 질환 진단과 함께 각종 면역 세포의 기능도 이들 면역세포를 분리해내어 실시.

 ☞ 기타 알레르기의 각종 원인이 되는 물질에 대한 혈액 내의 특정 면역 글로불린을 측정함으로써 알레르기의 원인 밝혀 냄. ​ ​

 

● 그 외 수혈검사

 ☞ 혈액형 검사

 ☞ 수혈시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는 적혈구 항체를 규명하는 검사.

 ☞ 친자감별 검사

 ☞ 혈액 내에서 DNA, RNA 등 핵산을 추출하여 유전자 검사를 시행하는 것으로 각종 유전자 이상을 진단

 

※ 혈액검사 의학용어

 

※ 혈액검사 후 결과지 용어 해석(혈액검사 결과지 보는 방법)

▶ WBC - 정의 : 백혈구수

- 정상수치 : 4,000~10,000 개/ ㎕

- 증가시 : leukocytosis (대개 2만 이하), 출혈 후. 외상, 백혈병 등 종양, 감염 - 감소시 : leukopenia (대개 중성밸혈구 감소), 항암 & 방사선 요법, 골수기능 저하, shock, 재생불량성 빈혈, 무과립구

- 비고 : 생후 2~3 일은 2만개 내외, 1 년까지는 만개 내외, 3 세까지 높은수치를 보임 ​ ​

 

백혈구 감별계산 Neutrophil

- 정의 : band neutrophil 미성숙 호중구 / seg. neutrophil 분절 호중구

- 정상수치 : 2~6% / 50~75%

- 증가시 : 급성 염증, 골수성 백혈구

- 감소시 : 장티푸스, 브루셀라, 바이러스성 질환, 간질환, Addison ds, 약물반응(아미노페린) ​

 

Lymphocyte

- 정의 : 림프구의 비율

- 정상수치 : 20~44%

- 증가시 : 전염성 단핵증, 임파구성 백혈임파종, 육아조직성 질환

- 감소시 : 급성 감염의 초기, 림프조직의 파괴, 혈액질환, SLE

- 비고 : 10 세까지는 증가 상태 ​ ​

 

Monocyte

- 정의 : 단핵구의 비율

- 정상수치 : 2~9%

- 증가시 : 결핵, Hodgkin's ds, 기생충 감염, 단구성 백혈병

- 감소시 : 중증 패혈증, 악성빈혈 ​ ​

 

▶ Eosinophil

- 정의 : 호산구 비율(호산구 증가, 호산구 감소, 호산구 수치, 호산구 백분율)

- 정상수치 : 1~5%

- 증가시 : 알러지, 기생충 감염, 자가면역질환,Hodgkin's ds

- 감소시 : 감염초기 (장티푸스), shock, 출혈, Cushing syn.

- 비고 : 유아기에서 증가 ​ ​

 

▶ Basophil  수치

- 정의 : 호염기구 비율

- 정상수치 : 0~2%

- 증가시 : 골수성 백혈병, 진성 적혈구증가 ​ ​

 

▶ RBC

- 정의 : 적혈구수

- 정상수치 : 400 만~540 만 개 / ㎕

- 증가시 : 화상, 탈수, 구토, 산소운반저하에 따른 보상,  Cushing syn.

- 감소시 : 빈혈, 출혈, 용혈, 갑상선 기능저하 ​ ​ 적혈구 상수

 

▶ Hgb

- 정의 : 혈색소량, 산소운반능력을 측정

- 정상수치 : 남 14~17, 여 12~16 g/㎗

- 비고 : 적혈구수와 반드시 비레하지는 않음. 철 결핍성 VS 악성빈혈 ​ ​

 

▶ Hct

- 정의 : 적혈구용적율, 혈액 전체부피에 대한 적혈구만의 부피 비율

- 정상수치 : 남 40~54, 여 36~46 %

- 증가시 : 적혈구증가증 (polycythemia)

- 비고 : 적혈구의 상대적 수를 결정하는 가장 정확한 방법 > RBC, Hgb ​

 → 남자는 Hb 13 이하, Hct 39 이하, 여자는 Hb 12, Hct 36 이하를 빈혈로 정의 ​ ​

 

▶ MCV (Mean corpuscular volume)

- 정의 : 적혈구 한개의 평균 용적. Hct/RBC x 특정상수

- 정상수치 : 76~95 fL

- 증가시 : 대혈구성 저염색성/정염색성 빈혈

- 감소시 : 소혈구성 저염색성/정염색성 빈혈, 철 결핍성, 지중해성 빈혈 ​ ​

 

▶ MCH (Mean corpuscular hemoglobin)

- 정의 : 적혈구 한개가 가지는 혈색소량의 평균. Hgb/RBC

- 정상수치 : 27~33 pg ​ ​

 

▶ MCHC (Mean corpuscular hemoglobin concentration)

- 정의 : 한개의 적혈구가 가지는 혈색소 농도의 평균을 %로 표시. Hgb/Hct

- 정상수치 : 32~36 % ​ ​

 

▶ ESR

- 정의 : 적혈구 침강속도. 정맥혈의 1 시간동안 가라앉은 적혈구의 양을 mm로 표시

- 정상수치 : 남 0~9, 여 0~20 mm/hr

- 증가시 : 급성 염증이나 기질적인 조직 파괴의 경우 (결핵, 류마티스열, 심근경색)

- 감소시 : 적혈구 증가증, 고도의 악액질, 간장

- 비고 : 남자 < 여자, 성인 < 소아 ​ ​

 

▶ Platelet

- 정의 : 혈소판의 수

- 정상수치 : 13 만 ~40 만 개 / ㎕

- 증가시 : 출혈이나 운동 후. 진성 적혈구 증가증, 백혈병

- 감소시 : 골수 저형성, 종양등

- 비고 : 2만 이하에서는 자연출혈, 5 만 이하에서는 수술 금기, 8 만 이하는 thrombocytopenia 정상

            Ivy BT : 1~6 분 PT : 11~15초 (INR < 1.2) aPTT : 25~35 초 TT : 9~13 초 ​ ​

 

▶ MPV (Mean plasma volume)

- 정의 : 평균 혈소판 용적

- 정상수치 : 7.4~10.4 fL - 감소시 : 작은 손상에도 출혈의 위험이 커짐 ​ ​

 

▶ РСТ

- 정의 : Platelet Crit, 혈소판 용적 백분율

- 정상수치 : 0.15~0.32% ​ ​

 

▶ ANC (Absolute Neutrophil Count)

- 정의 : 절대적인 호중구의 수

- 정상수치 : 1800~7000 개 / ㎕

- 증가시 : 급성 염증, 감염, 약물, 조직괴사

- 감소시 : 골수저하, 550 이하시 G-CSF 주사 고려 ​ ​

 

▶ Calcium

- 정상수치 : 8.8~10.5 mg/ dL

- 증가시 :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 갑상선 기증 저하증, 비타민 D 중독증

- 감소시 : 부갑상선 기능 저하증, 비타민 D 결핍, 만성 신부전 ​ ​

 

▶ Phosphorus

- 정상수치 : 2.5~4.5 mg/ dL

- 증가시 : 부갑상선 기능 저하증, 비타민 D 과잉섭취, 갑상선 기능 항진증, 신부전

- 감소시 :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 비타민 D 결핍, 구루병 ​ ​ Glucose - 정상수치 : 공복시 70~110, 식후 2 시간 80~140 mg/ dL

- 증가시 : 당뇨병, 갑상선 기능 항진증, 뇌하수체 기능 항진증, 감염

- 감소시 : 고 인슐린증, 갑상선 기능저하증, 췌장암, Addison ds. ​ ​

 

▶ BUN (Blood Urea Nitrogen)

- 정의 : 비단백성질소성분의 대부분을 차지. 신장의 대사산물 배설능력을 나타냄

- 정상수치 : 10~26 mg/ dL

- 증가시 : 신장자체질환, 요로폐색, 탈수, 신우신염, 사구체신연, SLE, Addison ds

- 감소시 : 간 기능 장애, 임신, 스테로이드 섭취

- 비고 : 신기능 외에 식이, 간 기능에 따라서도 변화 ​ ​

 

▶ Creatinine

- 정의 : 근육에서 creatine 으로부터 생성되어 사구체에서 여과된 후 소변으로 배설

- 정상수치 : 0.7~1.4 mg/ dL

- 증가시 : 신기능 장애, 신부전, 요로폐쇄, 탈수 - 감소시 : 근 이영양증 (dystrophy)

- 비고 : 신장 기능 이외의 영향은 적음 ​ ​

 

▶ Uric acid

- 정의 : 요산(음식을 통해 섭취되는 퓨린(purine)이라는 물질을 인체가 대사하고 남은 산물)

- 정상수치 : 3~7 mg/ dL

- 증가시 : 통풍, Lesch-Nyhan syn, 백혈병, 다혈구증, 만성 신부전

- 감소시 : 세뇨관 재흡수 장애. 임 ​ ​

 

▶ Cholesterol

- 정의 : 혈관 내벽에 축적되는 지방분의 대부분. 부신피질 호르몬과 담즙산의 전구물질

- 정상수치 : 0~240 mg/ dL

- 증가시 : 당뇨병, 신장증, 폐쇄성 황달, 비만. 갑상선 기능 저하증

- 감소시 : 갑상선 기능 항진증, 간경변, 베타 lipoprotein 결핍, 흡수불량 증후군

- 비고 : 관상동맥경화증, 심근경색증과 밀접한 관련 ​ ​

 

▶ Total protein (정상 A/G ratio 는 1.5~2.5:1)

- 정의 : Albumin (간에서 만들어지는 수용성 단백질로 세포의 기초물질을 구성)

- 정상수치 : 4~5.5 g/ dL

- 증가시 : 탈수증으로 혈액이 농축

- 감소시 : 단백질 섭취 부족, 간기능 저하, 신증후군, 뇨단백

- 비고 : 삼투압 조절, 독성 중화, 단백질 저장소의 기능을 함 ​

 

- 정의 : Globulin (물에 녹지않는 조직 및 체액의 단백질)

- 정상수치 : 1.5~3 g/ dL

- 증가시 : 감염증, 다발성 골수종 및 간질환

- 감소시 : 감마 글로불린(면역 글로불린)이 저하된 경우

- 비고 : 독소와 바이러스의 중화, 항균작용 ​ ​

 

▶ Total bilirubin

- 정의 : Heme 의 대사산물로 간에서 쓸개즙으로 저장되어 있다가 창자로 배출

- 정상수치 : 0.2~1.2 mg/ dL

- 증가시 : 간염, 간경변, 간암, 담도계 질환, 황달, 갈버트 증후군

- 비고 : 직접 빌리루빈 (0~0.4, 글루크론산 포합되어 수용성, 뇨로 배출) 간접 빌리루빈 (0.2~0.6, 알부민과 결합하여 지용성, 배출 안됨) ​ ​

 

▶ ALP (Alk. phosphatase)

- 정의 : Phosphate ester 를 가수분해하는 효소로 pH 10 정도에서 잘 작용함

- 정상수치 : 30~115 IU/ L

- 증가시 : 간질환, 담도계질환, 골질환, 장천공 궤양, 갑상선 기능항진증,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 Paget ds.

- 감소시 : 갑상선 기능 저하나 영양 결핍. 공복시에도 감소

- 비고 : Acid phosphatase 는 전립선암의 전이시에 증가됨, 소아는 정상치의 3 배정도 ​ ​

 

▶ AST (Asparatate aminotransferase), GOT (Glutamic oxalacetic transaminase) ALT (Alanine aminotransferase), GPT (Glutamic pyruvic transaminase)

- 정의 : 주로 간세포에 존재하는 효소로 손상을 받으면 혈중으로 유리. 심장, 골격근육, 신장, 뇌에도 분포함

- 정상수치 : 0~40 IU/ L

- 증가시 : 급성 간염, 전염성 간염, 만성 간염, 알코올성 간염, 지방간, 간

- 비고 : 급성 간세포 손상 초기에는 AST 가 손상 후기에는 ALT 가 높음. 알코올성 간염은 AST 높음. 만성 간염, 전염성 간염은 ALT 가 높음. 심근경색증, 근육질환에서는 AST 가 증가. ​ ​

 

▶ hs-CRP (high sensitivity C-reactive protein)

- 정의 : 폐렴알균(Streptococcus pneumoniae)의 표면 항원인 C 다당체와 반응하는 단백질

- 정상수치 : 0~0.5 mg/ dL

- 증가시 : 감염성 질환, 자가면역질환, 관상동맥질환, 뇌졸중, 심근경색

- 비고 : 급성기 반응 물질이란 염증(감염, 자가면역질환 등)이나 조직 손상(외상, 수술, 심근경색, 종양)에 비특이적으로 반응하여 농도가 변하는 물질 ​ ​

 

▶ FANA (Fluorescent antinuclear antibodies)

- 정의 : 여러가지 핵성분 (DNA, ribonucleoprotein, smith 항원)에 대한 항체

- 양성일 경우 1:40, 80, 160, 320, 640, 1280 까지 희석하여 최종 titer 를 보고

- SLE (>95%), RA (> 25-30%), Sjogren (> 50-60%), 진행성 전신성 경화증 (60-70%)

- 정상인도 5%정도 있으면 70,80 대에는 더 흔함 (5-20%) ​

 

▶ RF (Rheumatoid factors)

- 정의 : IgG Fc fragment 에 대한 자가항체로 대개 IgM 이며 드물게 IgG

- RA (>80%), 페질환 (10-60%), Sjogren (> 90%), 감염 (10-40%)

- RA 의 초기나 juvenile RA, 강직성 척추염에서 음성으로 나오기도 함. 정상인의 5%는 양성으로 나올 수 있음. 요즘에는 anti-ccp(cyclic citrullinated protein autobodies) 를 많이 사용함 ​ ​

 

▶ SSA/Ro Ab, SSB/La Ab

- 정의 : Sjogren syndrome 의 항체

- 각각 55%, 40%에서 양성을 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