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마트팜

버섯재배사 스마트팜 모델

by K-SMARTFARM 2023. 7. 13.
반응형

◈ 버섯재배사 스마트팜 모델

버섯재배사 모델

가. 필요성

현재 버섯재배사의 환경관리는 농업인이 현장에서 버섯 상태를 확인한 후 그때그때 경험에 의해 습득한 정보를 기반으로 각종 장치를 조절하기 때문에 버것을 재배하는 기간에는 재배사에 머물러 있어야 하고 노력이 많이 소요된다. 버섯 생육에 최적화된 생육정보를 기반으로 자동관리하면 현장에서 컨트롤러을 조절하는 노력을 줄일 수 있고, 데이터에 의한 관리로 항상 같은 품질의 버섯의 생산할 수 있다. 아치형 구조와 보온덮개를 기반으로 한 간이버섯재배사는 표준 모델이 개발되어 있지만 샌드위치 단연패널을 사용한 양지붕형 버섯 재배사에 대한 표준모델이 없어 시공할 때마다 설계를 해야 하는 수고로움과 비용이 발생된다.

 

나. 버섯재배사 스마트팜 모델 주요 구성

버섯재배사 스마트괌 모델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버섯재배사 내부의 환경을 모니터링하고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을 설치해야 한다. 시스템에는 버섯의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조절할 수 있도록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 대류팬, 조도 등의 센서와 함께 이들 센서 정보를 기반으로 재배사 내부의 환경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버섯배재사 스마트팜 모델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최적의 버섯 생산을 구현하는 재배사의 환경을 측정 분석하여 데이터베이스로 활용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기준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지금까지는 보온덮개를 사용한 간이버섯 재배사 모델이 개발되어 이용되었으나 스마트팜 모델을 위하여 샌드위치 단열패널을 이용한 양지붕형 재배사 모델을 개발하였다. 이들 모델의 구조적 안전성은 적성 적설 50cm, 바람 40m/s로 하였으며 모델은 3.2×10.0m, 6.0x20.0m, 6.6×20.0m 등 3종을 개발하였다. 다단으로 재배하는 균상버섯 재배사의 중앙통로에 내부공기를 강제로 순환시킬 수 있는 대류팬을 설치토록 하였다.

대류팬의 용량은 버섯재배사 내 공기를 분당 1회전 시킬 수 있는 용량이고, 대류팬의 설지 위치는 폭 6-6.6m, 길이 20m 표준버섯 재배사를 길이 방향으로 3등분하면 폭과 길이가 정사각형 형태이며, 각각의 정사각 평면의 중앙에 대류팬을 설치하면 버섯재배사 1동에 3개의 대류팬이 설치되도록 하였다. 대류팬의 공기토출 방향은 상 방향으로 설치하여 버섯재배사 내 공기유동을 최소화하면서 전체적인 대류 현상이 발생되도록 하였다. 외부공기 유입구는 1단 균상 하단부에, 내부공기 배출구는 지붕에 설치도록 하였다.

지붕형 버섯재배사

다. 버섯재배사 스마트팜모델 이용 효과

데이터베이스에 의한 내부 환경관리로 외부 환경 변화와 관계없이 항상 같은조건의 환경을 유지 가능해 버섯 생산성 및 품질 향상이 가능하다. 다단 균상버섯재배사 내 온도 및 습도를 균상 위치에 따라 약 1.5℃ 이내로 정밀 관리하여 버섯의 고른 성장이 가능하며, 표준재배사 이용으로 재배사 설치시마다 해야 하는 설계비용을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스마트팜 버섯재배사
버섯재배사모델 버섯재배PDF채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