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마트팜

6차 산업이란?, 6차 사업과 스마트팜의 연관성

by K-SMARTFARM 2023. 7. 11.
반응형

◈ 6차 산업이란?

6차산업이란

6차 산업은 1차 산업(농업, 목축업, 수산업), 2차 산업(제조업, 가공업)과 3차 산업(서비스업, 판매업, 관광업 등)이 모두 융합된 형태의 산업 구조를 의미합니다. 이를 흔히 농촌융복합산업이라고도 부릅니다.

6차 산업은 농촌에 존재하는 모든 유·무형의 자원을 바탕으로 농업과 식품, 특산품 제조가공 및 유통·판매·문화·체험·관광을 서비스 등과 연계함으로써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활동을 말합니다.

 

6차 산업의 장점으로는 지역의 자원을 활용하고 지역 주민이 직접 산업을 주도한다는 것이 있습니다. 이를 통해 창출된 부가가치와 일자리를 농업·농촌으로 내부화할 수 있어 침체된 농촌 지역경제를 활성화하는 기틀이 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또한 글로벌 경제환경 변화에 대응하고, 산업 간 융합화 추세에 부응함으로써 기존 성장주도산업과 함께 새로운 성장동력원으로 발전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습니다.

 

6차 산업의 예시로는 농촌융복합산업이 있습니다. 이는 농촌에 존재하는 모든 유·무형의 자원을 바탕으로 농업 (1차산업)과 식품, 특산품 제조가공 (2차산업) 및 유통·판매·문화·체험·관광을 서비스 (3차산업) 등과 연계함으로써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활동입니다. 또한 6차 산업은 농촌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스마트 팜, 스마트 시티, 인공지능 등이 있습니다.

 우리나라도 이러한 6차산업을 지원하기 위해서  각 지역별 6차산업지원 센터가 있으며 6차산업  인증제를 통해서  발전할 수 있도록  교육과 지원 등 대책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6차산업혁명

◇ 6차산업 사업자 인증제

정부에서는 6차산업 발절을 위해서 지역 농산물을 사용하는 6차산업 사업자 중 성장 가능성, 기존 제품과의 차별성, 사업가 마인드 등 까다로운 심사를 거쳐 정부가 인증합니다. 3년마다 자격요건을 검증하는 등 지속적으로 관리하고 있습니다.

 

☞ 대상주체: 농업인, 농업법인, 농업관련 생산자단체, 소상공인사회적기업, 협동조합, 사회적 협동조합, 중소기업 · 1인 창조기업.

6차산업인증 가능
6차산업

사업장 입지: 농촌지역을 주 기반으로 6차산업 활동을 영위하는 경영체, 농산물 및 농업활동과 관련한 지역의 유 . 무형 자원을 활용하여 2 . 3차 산업과 융복합을 통해 고부가가치를 높이는 사업을 추진 하고 있는 경영체 인증절차

 

◇ 사업자 인증기준에 준하는 업체를 다음과 같은 절차를 거쳐 심사를 하게 됩니다.

인증신청과 인증심사는 수시로 실시하되, 6차산업지원센터의 인력·업무 상황 등을 고려하여 분기 1회 이상 인증심사 실시

6차산업 인정신철 절차

◇ 인증신청 및 심사

지역에서 6차산업을 추진하고 있는 경영체가 관할 지역 내 6차산업 지원센터에 신청서를 작성하여 제출

6차산업인증신청 및 심사

 

※ 6차산업 인증을 받으면 어떤 혜택이 있나요?

- 잘 만든 제품을 잘 팔 수 있도록 판로 마케팅을 지원합니다.

- 소비자 인지도 제고를 위해 온오프라인 매체를 통해 홍보합니다.

- 인증사업자가 필요한 분야의 전문가를 매칭하여 기업 성장에 기여합니다.

- 우수 인증사업자 발굴·홍보를 통해 사업자간 벤치마킹 기회를 제공합니다.

- 농촌융복합산업 활성화에 필요한 자금의 원활한 조달을 위하여 융자를 지원합니다.

* 대출자가 이자 정부가 일부를 지원(농업자금이차보전 사업) * 취급기관 : NH농협은행, 농축협(조합) 사업자 인증제

 

농촌융복합산업(6차산업) 사업자 인증을 받으면 아래와 같은 다양한 지원을 제공받습니다.

1. 자금지원

6차산업 융자자금(연 150억원), 농식품 펀드조성 등을 통해사업자금 지원 - 시설(제조ㆍ가공, 유통ㆍ판매 및 체험시설 등)설치, 가공 기계ㆍ장비 구입 및 리모델링 자금 최대 30억 원(2%, 3년거치 7년 균분상환), 운영자금 3억 원(2%, 2년 일시상환)

 

2. 컨설팅

신제품 개발, 사업화 등 컨설팅 지원 및 농산물종합가공센터를 통해 시제품 생산, 보육교육 등을 지원 - 6차산업화 전문가 POOL을 구축하여 금융, 법률, 스토리텔링, 품질 및 위생관리, 유통전략 등의 현장 애로사항을 온오프라인 지원 - 농산물종합가공센터 : '14년 22개소 → '20년 90개소(누적, 농촌진흥청)

 

3. 유통·판로

소비자 판촉전, 유통전문가(MD 및 바이어 등) 초청 품평회, 유통채널 입점, 수출 컨설팅 등을 통해 판로확대 지원 - 우체국쇼핑몰(농촌융복합산업 브랜드관), 비욘드팜(송파 1호점, 광교 2호점), 농협하나로마트 기획전, 라이브커머스, 지역단위 안테나숍 등

 

4. 홍보

6차산업 우수제품 및 성공사례 홍보물 제작 및 배포,온라인 사이트(www.6차산업.com)를 통한 정보 제공 및 홍보

 

5. 인증사업자 표시

인증사업자의 사업장 및 제품에 ‘6차산업 인증표시(로고)’ 및 ‘6차산업 제품 BI’ 표시 가능 - 생산·가공한 제품 및 그 제품의 포장·용기·홍보물 등에 인증표시 가능

 

6. 지원사업 선정

향토산업육성사업, 농촌자원복합산업화사업 등 6차산업 관련 지원사업에 인증사업자 참여 시

 

7. 우대 우수사업자 포상

6차산업 경영실적이 높고, 사업계획의 목표를 달성한 사업자를 우수사업자로 선정하여 포상

 

 

※ 6차 산업이 스마트팜에 끼칠 영향

 스마트팜은 기존 농업 방식에 정보통신 기술과 자동화 기술을 접목하여 효율성과 생산성을 높이는 혁신적인 농업 시스템을 의미합니다. 6차 산업의 기술과 서비스는 스마트팜 분야에서 다음과 같은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1. 센서와 IoT: 센서 기술과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활용하여 스마트팜은 작물의 성장 상태, 토양 조건, 날씨 등 다양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농작물의 생육 환경을 모니터링하고 최적의 조건을 제공함으로써 생산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2. 빅데이터와 분석: 스마트팜은 수집된 대량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농작물의 성장 패턴, 질병 예방, 작물 수확 시기 등에 대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농부는 더 정확한 결정을 내릴 수 있고, 농작물의 생산과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3. 자동화와 로봇: 스마트팜에서는 로봇 기술과 자동화 시스템을 활용하여 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습니다. 로봇은 작물의 식수, 병충해 관리, 수확 등을 담당할 수 있으며, 이는 농업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노동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합니다.

4. 드론 기술: 드론은 스마트팜에서 토양 조사, 작물 모니터링, 씨앗 파종, 비료 분사 등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드론을 이용하면 넓은 범위의 농경지를 빠르고 정확하게 조사하고 관리할 수 있으며,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5. 인공지능과 자동화: 인공지능 기술은 스마트팜에서 농작업에 관련된 데이터를 분석하고 예측하는 데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농작물의 성장 패턴, 병충해 예방, 수확 시기 등에 대한 지능적인 의사 결정을 지원하며, 자동화 기술과 연계하여 농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이러한 6차 산업의 기술과 서비스는 스마트팜의 생산성 향상과 자원 효율성 증대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더욱 효율적이고 지속 가능한 농업 시스템을 구축하여 식량 생산과 농업 산업의 발전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입니다.

 

 

상세한 내용은 아래 각 지역별 6차산업지원센터에 연락하셔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정부 6차산업:      https://www.6차산업.com 

 

- 각 지역별 6차산업

♣ 강원 지원센터

• 033-249-2635

www.gangwon6.co.kr

• 강원도 춘천시 강원대학길1 강원대학교 친환경농업연구센터 2층 202호

 

♣ 경기 지원센터

• 031-250-2783

www.경기6차산업.com

• 경기 광주시 곤지암읍 경충대로 731 (친환경농산물유통센터) 2층

 

♣ 경남 지원센터

• 055-763-7880

www.경남6차산업.com • 경상남도 진주시 동부로 169번길 12 A동 1206호(충무공동,윙스타워)

 

♣ 경북 지원센터

• 054-650-1182

www.경북6차산업.com • 경북 예천군 호명면 수변로 125 서진타워 5층 (재)경상북도농식품유통교육진흥원

 

♣ 세종농촌융복합산업지원센터

• 044-999-0234

www.세종6차산업.com •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군청로 93 SB프라자 3층

 

♣ 인천 지원센터

• 032-260-0839

www.인천6차산업.com • 인천광역시 연수구 갯벌로 12 갯벌타워 4층

 

♣ 전남 지원센터

• 061-750-5291

www.전남6차산업.com

• 전라남도 순천시 중앙로 255, 순천대학교 B7관 603호

 

♣ 전북 지원센터

• 063-271-3545

www.전북6차산업.com

•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오공로 38, 농식품마켓 2층

 

♣ 제주농업농촌6차산업지원센터

• 064-722-7914

www.제주6차산업.com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첨단로 213-65, 2층

 

♣ 충남 지원센터

• 041-635-0149

www.충남6차산업.com

• 충청남도 홍성군 홍북읍 충남대로 50 아르페온 2차 306호 • 충북 지원센터

 

♣ 어촌특화사업(어촌6차산업)

044-867-4853~4

세종특별자치시 가름로 232(어진동) 세종비즈니스센터 B동 404호 어촌개발지원단TEL: 044-867-4853~4

https://naraport.mof.go.kr/fipa/sub/demo_project/project6_01_3.do 

어촌6차산업 어촌특성화사